2021 단지설계
부지 계획 및 설계 (Site Planning and Design)는 새로운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지형, 배수, 식재, 포장, 건물 등의 구성 요소를 부지에 적절히 배치하는 설계과정이다. 부지 계획의 목적은 토지의 용도와 주변 환경의 조건에 따라 결정되며, 조경 또는 도시 계획가들이 개발의 주체와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새로운 개발 계획을 제안하기 위해 설계전략 및 세부 계획을 세우는 단계이다. 부지 계획의 과정은 대상지에 대한 관련 법규 및 물리적·환경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적합한 설계방향을 도출하고, 이해관계자(stakeholder) 간의 대립을 조정하여 실현가능한 설계안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부지 계획은 일반적으로 대상지 분석(Site Analysis)을 통해 잠재적 개발 부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대상지 분석은 해당 부지의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맥락 및 환경적 정보에 대한 수집과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계 프로세스의 사전 단계이다. 계획가 또는 설계가는 대상지의 경사, 토양, 수문, 식생, 기반시설, 음영, 바람, 열쾌적성 등의 물리적· 환경적 정보의 요약을 매핑(Mapping) 형식으로 표현한다. 또한 대상지의 기후, 지리, 역사, 법규 및 잠재적 이용자(Users)와 연관된 사회적·인문학적 정보를 분석하고 적정 프로그램(Program)을 도출한다. 대상지 분석의 결과는 설계를 돕기 위한 다양한 그래픽 툴로 전환되고 평가되어 설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근거로 활용한다. 또한 대상지의 드론 측량을 통해 대상지 현황 3D 파일을 작성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이를 설계과정의 출발점으로 사용한다.
공간을 대상을 하는 설계에서는 평면이 아닌 입체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며, 외부공간의 설계과정에서 지형설계(grading)과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설계요소를 제안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학기 부지 계 획 및 설계 스튜디오에서는 땅을 다루는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배수계획 등 지형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관 련요소를 함께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조경분야의 BIM에 해당하는 조경정보모델(Landscape Information Modeling)을 활용하는 지형설계 프로세스를 워크샵을 통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조경정보모델은 3D 지형모델의 정보화로 등고선 설계 및 절성토 물량산정 등 설계 자동화 기술과 관련 분야와의 효율적 협업 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조경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